합병정렬 알고리즘
분할 정복(Divide and Conquer) 알고리즘 중 하나로, 배열을 반으로 나누어 각각을 재귀적으로 정렬하고, 그 결과를 합쳐서 정렬된 배열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입니다.
* 분할과 정복 알고리즘의 원리
접은 글 내에 글자 중복이 있습니다. 중복된 부뷰이 지우고 수정한 부분이었는데, 수정 시에는 안 보이는데 등록 후에는 보이는 이상한 버그가 있네요
분할 정복 알고리즘의 일반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분할(Divide) :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작은 크기의 동일한 문제들로 분할
- 정복(Conquer) : 각각의 작은 문제를 동일한 방법으로 순환적으로 해결
- 합병(Combine) : 작은 문제의 해를 합하여 원래 문제에 대한 해를 구함
합병정렬도 위 구조에 따라, 배열을 분할하고, 정렬 후 합병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이를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정렬된 배열을 얻습니다.
-----------------------------------
* 작은 문제의 해
작은 문제의 해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풀어낸 문제의 해답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큰 배열을 정렬해야 한다면 작은 문제로는 배열의 일부분만 정렬하면 됩니다. 이렇게 작은 문제의 해를 구하고 이들을 합쳐서 최종적인 문제의 해를 구하는 것이 분할정복 알고리즘의 핵심 아이디어 중 하나입니다. 이렇게 분할하여 해결한 작은 문제의 해를 이용하여 전체 문제의 해를 구하는 것이 분할정복 알고리즘의 핵심 아이디어 중 하나입니다. |
합병정렬 알고리즘의 실행 과정
1. 입력 배열을 반으로 나누어 두 개의 배열로 분할합니다. 2. 분할된 각각의 배열을 재귀적으로 합병 정렬 알고리즘을 호출하여 정렬합니다. 3. 분할된 배열을 합병하여 정렬된 결과를 반환합니다. |
코드
각 유형은 사용된 세부 메서드나 배열에 대한 접근 방식에 약간 차이가 있을 뿐 거의 동일한 방식에 따른 동일한 원리에 의해 동일한 결과를 출력합니다. 다만 사용하는 메서드에 따라서 배열의 길이 등에 따라 성능 측면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같은 알고리즘의 구현 방식이라도 세부 구현 내용에 따라서는 그 성능 차이가 제 각각 이므로 상황에 따라서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유형1)
function mergeSort(arr) {
// 재귀적으로 호출하여 배열을 반으로 쪼갠다.
if (arr.length <= 1) {
return arr;
}
//배열을 구분하기 위한 중간 인덱스를 구한다.
const mid = Math.floor(arr.length / 2);
// mid(중간위치의 인덱스)을 기준으로 왼쪽/오른쪽 배열을 구분한다.
const leftArr = arr.slice(0, mid);
const rightArr = arr.slice(mid);
// 재귀 호출을 통해 각각 정렬한다.
const sortedLeftArr = mergeSort(leftArr);
const sortedRightArr = mergeSort(rightArr);
// 정렬된 배열을 하나로 합치기 위해 merge 함수를 호출한다.
return merge(sortedLeftArr, sortedRightArr);
}
// left, right로 각각 정렬된 배열을 합치는 연산을 수행하는 함수(merge)
function merge(leftArr, rightArr) {
//정렬된 배열이 저장되는 변수이다.
let sortedArr = [];
// 왼쪽 배열과 오른쪽 배열의 첫번째 인덱스를 비교하여 작은 값을 새로운 배열에 push한다.
// 이 과정은 두 배열 중 하나의 배열 길이가 0이 될 때 까지 반복한다.
while (leftArr.length && rightArr.length) {
if (leftArr[0] < rightArr[0]) {
sortedArr.push(leftArr.shift());
} else {
sortedArr.push(rightArr.shift());
}
}
// 남은 요소들을 새로운 배열에 push한다.
while (leftArr.length) {
sortedArr.push(leftArr.shift());
}
while (rightArr.length) {
sortedArr.push(rightArr.shift());
}
return sortedArr;
}
유형2)
function mergeSort(arr) {
// 배열의 길이가 1 이하면 정렬이 불필요하므로 그대로 반환한다.
if (arr.length <= 1) {
return arr;
}
// 배열의 중간 인덱스 값을 구한다.
const middle = Math.floor(arr.length / 2);
// 중간 인덱스를 기준으로 왼쪽, 오른쪽 배열을 나눈다.
const leftArr = arr.slice(0, middle);
const rightArr = arr.slice(middle);
// 재귀 호출을 통해 각각 정렬한다.
const sortedLeftArr = mergeSort(leftArr);
const sortedRightArr = mergeSort(rightArr);
// 정렬된 두 배열을 합병한다.
return merge(sortedLeftArr, sortedRightArr);
}
function merge(leftArr, rightArr) {
let resultArr = [];
let leftIdx = 0;
let rightIdx = 0;
// 두 배열을 비교하여 작은 값을 결과 배열에 추가한다.
while (leftIdx < leftArr.length && rightIdx < rightArr.length) {
if (leftArr[leftIdx] < rightArr[rightIdx]) {
resultArr.push(leftArr[leftIdx]);
leftIdx++;
} else {
resultArr.push(rightArr[rightIdx]);
rightIdx++;
}
}
// 아직 남아있는 요소를 결과 배열에 추가한다.
return resultArr.concat(leftArr.slice(leftIdx), rightArr.slice(rightIdx));
}
유형3)
function merge(arr1,arr2){
let results =[]
let i=0;
let j=0;
//두 배열의 길이 모두 보다 i,j 크기가 작을 때 까지 반복
//허나 두 배열의 길이가 서로 달라 모두 돌기 전에 반복이끝난다.
while(i<arr1.length &&j < arr2.length) {
if(arr1[i]<arr2[j]){
results.push(arr1[i]) //비교 했을 때 더 작은 값을 빈배열에 넣고 ++ 한다.
i++;
} else{
results.push(arr2[j])
j++
}
}
//나머지 배열요소에 대한 반복을 돌려서 위에서 마무리 못한 나머지를 배열에 합친다.
while(i<arr1.length){
results.push(arr1[i])
i++
}
while(j<arr2.length){
results.push(arr2[j])
j++
}
return results
}
function mergeSort(arr){
//배열의 길이가 1이 될 때 까지 다음 반복으로 넘어간다.
if(arr.length <=1) return arr
//배열을 자르기 위한 중간값을 구하기 위한 표현식
let mid = Math.floor(arr.length/2);
//정렬된 배열을 왼쪽과 오른쪽으로 구분한 배열로 만든다.
// 왼쪽 배열은 0부터 중간까지, 오른쪽 배열은 중간부터 끝까지
// 반복하면서 리턴되는 값을 변수에 담는다.
// 재귀를 통해 주어진 배열의 길이가 1이 될 때 까지 반복한다. (계속 분해)
let left = mergeSort(arr.slice(0,mid)); //mid 인덱스 –1 요소 까지 포함한다.
let right = mergeSort(arr.slice(mid)); //mid 인덱스 요소를 포함해서 나머지 요소 모두 포함
// 각각 저장된 배열들을 하나로 합치고 정렬하기 위해 1단계 합병함수를 호출한다.
return merge(left, right)
}
mergeSort([10,24,76,73,72,1,9])
// mergeSort 를 실행하는 경우 재귀호출이 될 수록 배열의 길이가 0으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24,76,73,72,1,9]
/ [10,24,76] left
/ [10] left
/ left =[10]
/ [24, 76] left
/ min = 1
/ [24]
/ left =[]
*/
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
합병정렬의 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는 입력 데이터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 최적의 경우
입력 데이터가 이미 정렬되어 있을 때, 합병정렬의 시간복잡도는 O(nlogn)입니다.
이는 입력 데이터를 반으로 나누어 가며,각각의 분할된 데이터들을 한 번씩만 비교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공간복잡도는 O(n)입니다.
- 최악의 경우
입력 데이터가 역순으로 정렬되어 있을 때, 합병정렬의 시간복잡도는 여전히 O(nlogn)입니다.
하지만, 분할과 합병의 과정에서 매번 모든 데이터를 비교하므로 계수에 상수가 크게 붙어서 실제 실행 시간이 더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공간복잡도는 여전히 O(n)입니다.
- 보통의 경우:
입력 데이터가 무작위로 주어졌을 때, 합병정렬의 시간복잡도는 여전히 O(nlogn)입니다.
분할과 합병의 과정에서 매번 절반으로 나누어 가며 비교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공간복잡도는 O(n)입니다.
따라서 합병정렬은 대부분의 경우에 대해 일정한 시간복잡도를 가지며,
공간복잡도 또한 상대적으로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는 정렬 알고리즘 중 하나입니다.
공간복잡도가 최적, 보통, 최악 모두 O(n) 인 이유
공간 복잡도는 보조 배열을 사용하기 때문에,
합병정렬의 경우 최악의 경우에도 입력 배열의 크기만큼의 공간을 사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공간 복잡도는 O(n)입니다.
예를 들어, 정렬된 분할 배열을 합치기 위해
두 배열의 값을 비교하여 작은 값을 보조 배열에 넣게 됩니다.
이때, 합병 과정에서 사용되는 배열을 보조 배열 이라 합니다.
(즉, left, right 를 기준으로 나눈 요소를 담는 배열을 말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합병정렬의 경우 최악의 경우에도
입력 배열의 크기만큼의 공간을 사용하게 되므로,
공간 복잡도는 O(n)이 됩니다.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 정렬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퀵 정렬 알고리즘 With JS (0) | 2023.03.21 |
---|---|
[알고리즘] 삽입 정렬 with JS (0) | 2023.03.10 |
[알고리즘] 선택 정렬 with JS (0) | 2023.03.09 |
[정렬 알고리즘] 버블정렬 with JS (0) | 2023.03.06 |